자주 묻는 질문
최근에 여러가지 이유로 특수 속옷의 문의가 많습니다. 요실금이나 변실금 또는 다양한 체형의 특수 제작 속옷을 필요로 하시는 경우입니다. 특수 속옷은 제작과정이나 개발 기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도 있고 소재나 기능의 한계가 있는 부분도 있지만, 최대한 원하는 기능에 맞추어 제작은 가능합니다. 다만 커스텀 디자인이 적용이 되기 때문에 패턴과 소재 디자인 등이 유니크 하여 개발 기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문의를 하는 제품군 중에 하나가 바로 여성용 트렁크와 드로즈입니다. 여성용 드로즈와 트렁크팬티는 생산에 전혀 문제가 업습니다. 다만 남성용 속옷과는 소재의 터치감과 패턴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소재를 사용하고 여성의 신체 구조에 맞게 패턴을 변경하면 편안하고 예쁜 여성용 드로즈와 트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요즘 많은 브랜드에서 출시하는 심리스 언더웨어는 예전에는 니트처럼 편직을 해서 진행하는 것을 의미했는데 요즘에는 원단의 시접을 봉제가 아닌 접착으로 붙이는 것의 주로 의미합니다.
심리스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 원단이 아닌 접착에 용이한 원단을 사용해야 하고, 이런 원단은 원단의 후가공 단계에서 유연제의 처리에 차이가 있습니다. 필름 및 핫 멜팅 등이 잘 고착이 되려면 적절한 유연제의 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보통 원단은 프리컷이라고 칭하는 원단을 사용하며 재단을 해도 원단의 끝 부분이 풀리지 않는 원단을 의미합니다. 소재는 주로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혼방을 사용합니다. 부드러움과 얇은 착장감을 위해서 하이게이지 원단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현재 남성용 언더, 여성용 브리프, 브라탑 등 다양한 심리스 제품이 디자인 및 판매되고 있으며, 접착 및 열처리 과정과 해당 가공 장비에 따라 그 난이도와 퀄리티가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의류는 그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는 패턴이 있어야 제작이 가능합니다. 옷을 처음 만들려고 하면 가장 먼저 이 패턴을 만들게 됩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하게 보이는 옷들도 사실은 이 패턴이 세부적으로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턴비용과 실제 샘플 봉제를 하는 공임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원단 및 부자재 프린트 등의 후 디테일한 가공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각각의 디자인에 따라서 패턴 및 원,부자재 그리고 봉제 사양에 따른 공임이 달라 질 수 있기 때문에 샘플 비용은 디자인과 원,부자재를 확인 한 후에 책정이 가능합니다.
의류의 종류와 디자인, 사용하는 원단 및 부자재에 따라 최소 생산수량은 많이 다릅니다.
보통 공장에서 생산할 수 있는 수량은 공장의 컨디션에 따라 아주 다양합니다. 보통 생산의 이너류(티셔츠)의 경우에는 100장 내외의 수량이 생산하기에 적당하며, 바지는 150장 내외입니다. 그러나 이 수량은 일반적인 수량이며 공장의 컨디션에 따라 매우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원단을 시장에서 구매를 하는지 또는 제직 여부에 따라 최소 생산 수량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의류를 생산하기 위해 기본적인 도식화나 일러스트 등이 있으면 좋겠지만, 그런 것이 없어도 디테일이나 실루엣을 표현할 수 있는 간단한 스케치 정도만 있어도 디자인라운지의 전문 디자이너들이 도와드립니다.
아이디어가 있어서 그것을 전달하고 표현할 수만 있다면 전문적인 디자인 지식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세부적인 원단 부자재와 봉제사양 등은 디자인라운지의 전문 디자이너들이 도와 드립니다.
아이디어와 컨셉을 가지고 만들어 나가는 브랜딩은, 쉽게 표현하면 내 옷의 이름을 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옷의 네임을 정하고 어떤 옷을 만들 것 인지, 무슨 컬러와 어떤 디테일을 살려서 만들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이름과 컨셉을 정하고 메인 컬러 등을 정해서 내 옷에 입히는 작업이 곧 브랜딩입니다.
의류 생산은 여러 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이 됩니다.
시즌 기획, 세부디자인, 샘플링, 생산발주 및 봉제, 검품 및 포장 등의 단계를 거쳐서 판매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모든 과정이 중요합니다. 하나의 과정이라도 실수가 생기게 되면, 완제품에서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계별로 각각 전문적인 인력들이 그 과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보통의 브랜드에서 진행하는 단계를 설명한 것이고, 인디 브랜드나 단품 브랜드 같은 경우에는 앞서 말한 과정을 그대로 진행을 하지만 그 단계와 일부 과정 등을 생략하고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 디자인 스케치, 제품 사진 등이 있으면 샘플은 만들 수 있습니다. 보통 제품을 기획하는 브랜드에서는 시즌 기획서, 도식화, 작업 지시서, 오리지널 샘플 등을 준비하여 제품을 생산합니다.
하지만, 처음 런칭하거나 신규 디자인의 경우 그런 자료들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자료가 없어도 제품에 대해서 설명이 가능하면, 샘플은 만들 수 있습니다. 제품 생산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아이디어 도식화 작업
패턴 제작
샘플 원부자재 준비
시제품 생산
모델 착장 테스트
제품 생산
해외 생산의 최소 수량은 아이템과 생산지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남성 베이직 드로즈 기준으로 5,000장 정도면 생산은 가능합니다. 단, 이 기준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단일 컬러 단
일 디자인이 적용된 베이직 제품 기준입니다.
최근에는 중국과 베트남 미얀마 등지에서 해외 생산이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남녀 언더웨어의 경우, 면과 합섬 섬유를 사용하는데, 합성 섬유에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이 있습니다.
천연 소재인 면은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소재로 흡습성과 터치감이 좋습니다. 텐셀, 모달 등의 소재는 면의 장점을 살려 터치감이 우수합니다.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터와 나일론 등은 속건과 빠른 땀 배출 등의 장점이 있으며, 내구성이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최근에 다양한 기능성 소재들이 출시되어, 냉감, 발열, 바이오, UV차단, 항균 등의 기능을 추가한 소재들도 많이 있습니다.
여성 속옷의 생산 가격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디자인과 품질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팬티 단품의 경우 2천원대부터 6천원대까지, 브라의 경우 6천원대부터 15,000원대까지로 가격 폭이 굉장히 넓습니다.
브라의 경우 사용하는 몰드 및 컵모양, 그리고 레이스에 따라 원가가 많이 달라집니다. 몰드의 모양이 특이할수록, 두께가 두꺼울수록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여성 속옷의 경우 남성의 경우보다 사용하는 원, 부자재의 가짓수가 많기 때문에 훨씬 다양한 케이스가 있습니다. 또한 브라 또는 팬티만 단품으로 생산하는 경우와 브라, 팬티를 세트로 생산하는 경우에 따라 생산 최소 수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여성 속옷의 경우 레이스와 원단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단과 레이스의 종류와 사용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은 1 컬러 기준으로 브라, 팬티 세트로 1,500 세트 정도면 생산이 가능합니다.
남성 속옷에서 최근에 드로즈 제품의 출시가 많이 되고 있어서, 아웃밴드의 사용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아웃밴드의 경우는 제직할 때 사용하는 실의 최소수량이 있고, 그 수량에 따라 보통 3,000 미터가 최소 수량이 됩니다. 3,000 미터면 남성 드로즈의 경우 1미터가 필요하다고 가정하고 3,000 장을 만들 수 있는 수량입니다.
제품 생산 가격은 제품의 디자인과 품질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보통 국내 생산의 경우 3천원대부터 7천원대까지 다양합니다. 생산 가격은 제품의 생산 수량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해외 생산의 경우 국내 생산 단가보다 20% ~ 30% 저렴하지만 생산 최소 수량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드로즈 생산을 위해서는 원단과 부자재 (아웃밴드, 케어라벨, 모빌론TAPE 등)가 필요한데, 이 원단과 부자재의 선택에 따라 생산 수량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원단을 제직해야 하는 경우라면 생산 수량이 일정 수준 되어야 가능하며, 또한 염색을 해야 하는 경우라면 컬러당 최소생산 수량도 고려해야 합니다.
다만, 원단을 제직하지 않고 시장에서 구매 가능한 원단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원단의 재고량에 따라 생산량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드로즈 생산 상담 시 원단은 구할 수 있다는 가정을 하고, 아웃밴드 제직 수량에 따라 3,000장 기준으로 생산 상담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